연주자

2025년 전주비바체실내악축제의 연주자
음악감독 최은식

최은식음악감독

더보기
지휘자 강창우

강창우지휘자

더보기
사회자 장일범

장일범사회자

더보기
바이올린 김현미

김현미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이석중

이석중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김에스더

김에스더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김정연

김정연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노윤정

노윤정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문지원

문지원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송지원

송지원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오현진

오현진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백은교

백은교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정진희

정진희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최규정

최규정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홍의연

홍의연바이올린

더보기
바이올린 황인영

황인영바이올린

더보기
베이스 조영호

조영호베이스

더보기
비올라 서수민

서수민비올라

더보기
비올라 권오현

권오현비올라

더보기
비올라 이수민

이수민비올라

더보기
비올라 홍지혜

홍지혜비올라

더보기
비올라 홍진선

홍진선비올라

더보기
첼로 최정주

최정주첼로

더보기
첼로 김소연

김소연첼로

더보기
첼로 오지현

오지현첼로

더보기
첼로 원진경

원진경첼로

더보기
첼로 최경은

최경은첼로

더보기
첼로 최민지

최민지첼로

더보기
첼로 홍승아

홍승아첼로

더보기
첼로 장혜리

장혜리첼로

더보기
하프 한승희

한승희하프

더보기
피아노 서형민

서형민피아노

더보기
img04

최은식음악감독

최은식은 서울예고 재학 중 Los Angeles 필하모닉의 수석 비올리스트 헤이치로 오야마 에게 발탁되어 도미, 커티스 음악원을 거쳐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 에서 수학 한 후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 와 신시네티 컬리지 오브 뮤직 콘서바토리의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의 보로메오 4중주단 창단 멤버로서 뉴욕 영 콘서트 아티스트 콩쿠르와 에비앙 콩쿠르에서 우승하였으며, 에머넷 현악 4중주단 멤버로 활동하였다.

미국에서 활동할 당시 에비앙 페스티벌 에서 아이작 스턴과 연주함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도쿄 현악4중주단, 오라이언 4중주단과 함께 연주했고, L.A. 디즈니홀 개관기념 연주회에 초청되어 에사 페카 살로넨과 연주했다. 미국 링컨센터와 케네디센터, 영국의 위그모어홀, 일본 산토리홀 등에서 연주를 비롯, 남아메리카, 캐나다, 러시아, 유럽 각국 등지에서 연주회를 가졌고, 챨스톤과 이태리의 스폴레토 페스티벌, 캐나다 벤쿠버와 다 아가시즈 챔버 뮤직 페스티벌, 프랑스 몽펠리에 와 쿠셔벨 페스티벌, 중국의 베이징 뮤직 페스티벌 등에서 초청 연주자로 연주하였다.

국내에서는 광복50주년기념 연주회에 초청받아 내한 연주 하였으며, 1997~2001년 한국을 빛낸 7인의 음악가에 선정되어 연주하였다. 그 외에 바로크합주단, 유라시안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금호 초청 독주회, 평화기원 갈라 콘서트를 비롯하여 교향악축제에 울산시향과 협연하였다. 알렉산더 아미시노프가 지휘하는 부산시립교향악단과 슈니케의 비올라 협주곡을 협연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벨라루스 에서 체르노빌 사건을 기념하는 연주회에 초청되어 벨라루스 교향악단과 협연하였다. 2008년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William Primrose 국제 비올라 콩쿨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 2009년 다시 부활된 <7인의 음악인들>5개 도시 순회연주를 하였다. 세계적인 비올리스트 노부코 이마이의 초청으로 20주년 Viola Space에서 함께 연주하였고, American Viola Congress 에 초청을 받아 연주하였다. 매해 스프링 페스티벌에서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자선단체 음악회에서 재능기부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Just Vivace Festival 예술 감독 이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img04

강창우지휘자

  • 서울대학교,헝가리 리스트음악원 졸업
  • 러시아 그네신음악원 지휘박사 졸업
  • 서울시향 단원, 코리안심포니 수석,유라시안 오케스트라 수석역임
  • 국립경찰교향악단 단장 역임
  • 성신여대 지휘교수 역임
  • 현 선화예중,고 오케스트라 지휘자
  • 서울대학교 현악합주 지휘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바이올린을, 동 대학원에서 음악학을 전공하였다. 그 후 헝가리 리스트 음악원을 우등으로 졸업하였고 모스크바 그네신 음악원에서 오케스트라 지휘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연주자로서 그는 서울시립 교향악단의 단원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유라시안 챔버 오케스트라의 비올라 수석을 역임하였다. 지휘자로 활동을 펼치면서부터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제주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뉴 서울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등 국내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 하였고 해외로 무대를 넓힌 후로는 러시아 페더럴 오케스트라와 우크라이나국립 교향악단, 트랜실바니아 주립오케스트라, 쿠르즈 필하모닉등 다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기도 했다.또한, 구리시 교향악단을 이끌고 유럽순회연주를 성공리에 마쳤으며 세계 유일의 비올라 오케스트라인 올라 비올라 사운드를 이끌고 2회의 유럽 순회공연을 다녀오기도 했다.

구리시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와 협성대학교 강의전담 교수를 역임하였고, 국립경찰교향악단 단장을 역임하면서 연간 100회 이상의 연주를 하였으며, 성신여대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선화예술학교 현악합주를 맡고 있으며, 코리안 스트링즈를 이끌고 있다.

img04

장일범 사회자

  • 음악평론가, 해설가, 칼럼니스트
  • 한국외대 러시아어과 졸업,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 성악과 수학
  • 문예진흥원 극장 평론과정 수료
  • 월간객석 기자 및 모스크바 통신원 역임
  • MBC TV 예술무대, 삼성밀크 라디오 MC 역임
  • 경희대 포스트모던 음악과, 안양대 겸임교수 역임
  • 스페인 마드리드 국제피아노콩쿨, 성정콩쿨 심사위원 역임
  • 아트선재센터 ‘이야기가 있는 음악회’ 기획 및 해설, 로댕갤러리, 삼성미술관 리움 목요음악회 9년간 진행
  • 부천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해설음악회, JCC 아트센터 마티네 콘서트 해설
  • 올림픽공원 파크콘서트, 서울시향,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등을 비롯 이탈리아, 러시아, 미국 등 국내외 공연 해설자
  • 13년간 KBS클래식 FM 장일범의 가정음악, 장일범의 생생클래식, 장일범의 음악풍경의 MC 역임
  • 현재 : 서울사이버대학 성악과 외래교수, 한국외대 지역대학원 러시아과 외래교수,국악방송 창호에 드린 햇살 진행자, 장일범의 K Classic World 유투버, 장일범의 유쾌한 클래식 팟캐스터, 대한럭비협회 이사
img04

김에스더바이올린

3세에 부모를 따라 스코틀랜드 에딘버러로 이주한 김에스더는 St.Mary’s Music School, Purcell Music School을 다녔고 스코틀랜드에서 학력평가에서 최고 점수를 받아 화재가 되었으나 음악을 전공하기로 결정 하고 미국 학력평가시험을 치뤄 전액장학금을받고 Crossroads School for Arts & Sciences에 입학하여 Colburn School에서 음악을 병행하며 고등학교를 마쳤다. 이후 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에서 학사과정을 수석졸업 , Royal Academy of Music에서 석사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Royal College of Music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했다.

7세에 최연소로 National Children’s Orchestra 에 입단하여 활동하였고
8세에 EIS에서 초청 연주, 11세에 첫 독주회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Brighton Youth Orchestra, Culver City Symphony Orchestra, Palisades Symphony Orchestra, 그리고 AIMS Festival Orchestra 외에 여러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하였다.
Sarah Chang을포함하여 Maxim Vengerove, Pierre Amoya, Krzysztof Wegrzyn, Massimo Quarta, 등등 세계 거장들과 마스터 클래스를 갖었다.
Edinburgh Music Festival, Aspen Music Festival, Aurora Music Star Festival, AIMS Festival외에 수많은 Festival에 참가하여 연주하였다.

Kocian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과 George Enescu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에서 입상, Aim Music Competition, Palisades Concerto Competition, Parness Concerto Competition 그리고 BOZAR Virtuoso Competition 에서 각각 1등 하였다. 대학시절 Lodon Symphony Orchesta 에서 특별 프로젝트인 대학생을 위한 오디션에 합격하여 LSO 리더로 연주했고 대학졸업후에 정식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그후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악장으로 선발 되었으나 학생 신분으로 돌아가 학업을 마친후 2020년부터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제1 바이올리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최근 Bratislava에 있는 슬로바키아 콘서트홀에서 피아노 트리오를 연주했고 Wigmore Hall에서 London Soundtrack Festival 연주로 현악4중주를 BBC라디오와 함께 연주했다.

현재 김에스더는 로열 앨버트, 로열 페스티벌, 카도간, 위그모어, 산토리, 카네기 홀 등 영국과 해외의 여러 공연장에서 정기적으로 공연하며 실내악과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단원으로 활동중이다.

img04

김정연바이올린

현재 한국과 미국, 유럽 무대에서 솔리스트 겸 교육자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정연(Jane Kim)은 예원, 서울예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음대를 실기 수석 및 우등 졸업, 예일 대학교에서 석사와 최고 연주자 과정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하였고, 뉴저지 주립대학교 박사 과정을 Excellent Artist Award를 수상하며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하였다.

어릴 적부터 두각을 나타내며 주목받아 온 그는 소년 한국일보 콩쿠르 대상, 기광 콩쿠르 대상, 뉴욕 국제 콩쿠르 대상을 비롯하여 AFAF International Competition 1위, American Protege International Competition 1위, 서울 심포니 콩쿠르 1위, 서울 실내악 콩쿠르 1위, 이화 경향 콩쿠르, 국민일보 콩쿠르, Mason Grosso 체임버 컴피티션 우승, RSO Concerto Competition 우승 등 국내 외 다수 콩쿠르를 석권하였고 연주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 받아 한미문화교류협회 ‘올해의 아티스트’ 부문에 선정되어 뉴저지 주 의회 상하원 의장상을 수여받았고, 미 연방 의원 표창장과 미국 대통령 봉사상 등을 수상하였다.

12세에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멘델스존 바이올린 콘체르토를 협연하며 데뷔한 그는 뉴욕 카네기홀, 링컨센터, Di menna Center Cary Hall, St. Marien in Germany, Detroit ArtLabJ Theater, Schare Hall, 예술의 전당 IBK 체임버 홀, 금호 아트홀 등 미국과 독일, 한국에서 수십여 차례 초청 독주회를 비롯하여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였으며 Miriam Fried, Roberto Diaz, Hsin-yun Huang, Robert McDonald, Peter Stump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과 함께 실내악 공연에 초청되었다. ​

또한 경기 실내악 축제, 뉴욕 총영사관 세계 공연 리더의 밤 초청 연주, 뉴욕 한국 문화원 초청 연주, 대통령 뉴욕 방문 기념 초청 연주, 음연 초청 젊은이의 음악제 연주, 부산 벡스코와 일산 킨텍스 세계 청소년 문화 교류 엑스포, 경기 아트센터 렉쳐 콘서트에 초청되어 연주하였으며 솔리스트로 성남 국제 유스 관현악 페스티벌에 협연자로 선정되어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와 협연 및 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 심포니 오케스트라, 울산 남구 구립 오케스트라,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대학교 오케스트라, 뉴욕 클래시컬 심포니 오케스트라, 럿거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안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특히 그의 럿거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연주는 큰 호응을 받으며 미국 라디오 방송 WWFM에 실황 중계되었다.

​그는 뉴욕 라디오코리아 FM 87.7 “제인 김과 함께 하는 클래식에 빠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청취자와의 다양한 소통을 통하여 클래식의 대중화에도 앞장서 왔다.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남예종 외래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수원대학교 객원교수, 서울교대영재교육원 교수, 가천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선화 예중, 예고 강사로 후학 양성에 힘을 쏟고 있으며 솔리스트로의 활동 이외에도 코리아 바하 소사이어티 리더 겸 악장, 미국 501c3 인증 단체인 국제 연주자 협회SIA 리더, 리움 챔버 오케스트라 악장, 뉴욕 클래시컬 심포니 오케스트라, 저지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초청 악장으로 한국과 미국, 유럽 등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img04

김현미바이올린

꾸준한 열정으로 폭 넓은 장르의 솔로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내악 작품들을 그 만의 감성과 논리로 해석해 낼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 음악에 까지 애정을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연주 세계를 펼치고 있는 정상급 연주자이다.

그는 워싱턴 국제콩쿨, 메네스 콘첼토 오디션, 동아 콩쿨, 한국일보 콩쿨 등에 입상하였고, 싱가폴 주니어 페스티발, 홍콩 청소년 음악제, 말보로 음악제, 탱글우드 음악제, 독일 유로음악제, 일본 키리시마 음악제 및 이태리 국제 음악제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 알렉산더 슈나이더가 지휘하는 브란덴부르그 앙상블과 뉴스쿨 챔버 오케스트라 멤버로 뉴욕에서 연주활동을 하였고, 뉴욕스트링 오케스트라, 크리스마스 세미나 오케스트라 등과의 연주로 경험을 쌓았다. “Musicians from Marlboro” 시리즈에 2회 초청되어 뉴욕의 카네기홀, 엘리스털리홀,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워싱톤의 케네디센터, 필라델피아, 보스턴, 플로리다, 커네티컷, 메릴랜드등에서 미국 순회연주를 하였다.

일본 오사카와 키리시마, 홍콩, 싱가폴 등지에서 독주와 실내악 연주를 하였고, 국내에서는 KBS홀 개관 기념연주회, 부산문화회관 전관 개관 기념예술제, 충무아트홀 개관 기념연주회, SBS 6주년 기념음악회 및 서울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실내악축제, 가을축제개막연주회, 재개관 기념 초청연주회, 재야음악회와 이건음악회, 통영 윤이상음악제에 초청되어 솔로와 실내악 연주를 하였다. 1998년에는 평양의 윤이상 음악제에 초청되어 솔로 및 평양 윤이상 교향악단과 연주하였고, KBS 교향악단, 부천시향, 강남심포니, 코리안심포니, 수원, 인천, 춘천, 원주, 마산, 진주, 청주, 충남, 대구, 울산, 창원, 광주, 대전, 과천, 포항 제주시향, 서울심포니, 프라임필하모닉 및 서울챔버오케스트라 등 국내 주요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91년 창단한 Quartet 21과 1996년 베를린 콘체르토 하우스에서 윤이상의 1주기 추모 음악회에 초청되어 Quartet 곡들을 비롯해 여러 곡을 연주하였으며, 2003년에는 한국 문화교류재단 외교문화사절의 일원으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서남아 순회공연을 마쳤다. 또한 2000, 2002년에는 미국의 “The Quartet Program” 여름 페스티발의 coaching professor로 초청되어 실내악을 가르쳤으며, 꾸준한 활동을 해온 Quartet21과 2006년 올해의 예술상(실내악부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을, 2007년에는 제39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을 그리고 2008년에는 제3회 대원음악상 연주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연주, 예음초청 Quartet 21의 명곡 시리즈, 베토벤 현악4중주 전곡 시리즈, 바르톡 현악4중주 전곡시리즈 연주 등 다양한 연주활동을 펼쳐왔다. KBS 한국의 연주가 CD로 독주와 실내악 음반을 제작하였고, 이건음악회 실황 음반, 베를린 윤이상 1주기 추모음악회 실황음반 및 바이올린 교육의 기본인 스즈끼 바이올린 교본전집 CD를 출반하였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 Quartet 21의 제1바이올린주자 및 코리아나 챔버뮤직 소사이어티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img04

노윤정바이올린

다채롭고 풍부한 음색과 깊이 있는 연주로 주목받는 바이올리니스트 노윤정은 일찍이 예원학교를 실기우등으로 졸업하고,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3년간 실기 우수상을 받으며 음악과 전체 수석으로 졸업하여 음악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학사, 석사(전액 장학)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특히 제48회 이화·경향 콩쿠르를 시작으로 제26회 한국일보 콩쿠르, 제11회 세계일보 콩쿠르, 제28, 29회 중앙일보 콩쿠르, 11회 성정 음악콩쿠르, The 10th OSAKA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1위 및 상위 입상하였다. 또한 서울예술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에서 악장으로 연주하였으며, 서울대 4학년 재학 중에는 클래시컬 플레이어즈 오케스트라의 부수석으로 발탁되어 활동하는 등 다양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외에도 서울예술고등학교 정기연주회에서 협연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재학 중 서울대 미주동창회의 초청을 받아 New York, Philadelphia, Dallas, Los Angeles, Washington D.C.를 순회 연주하며 독주자로서의 역량을 더하였다. 또한 서울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클래시컬플레이어즈 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비바체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서울비르투오지, 화음쳄버오케스트라, 서울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음악회에서 동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등 전문 연주자로서의 기량을 갖추어 왔다.

아울러 실내악에도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활동하여 일본 8th Miyazaki international Music Festival에 초청되어 연주하였고, The Quartet의 멤버로 서울 스프링 실내악축제, 예술의전당 실내악축제, 금호아트홀 금요 스페셜 콘서트 10주년 기념 음악회, 통영국제음악페스티벌에서 공연하였다. 또한 2009년부터 현재까지 화음쳄버 단원으로 정기연주회, 화음 프로젝트 페스티벌 등 다양한 무대에서 연주하였으며, 윤이상 탄생 100주년 기념공연으로 팀프 앙상블의 유럽 투어 연주에서 공연하였고, 서울 튜티 앙상블의 수석단원으로 독일 투어에 참여하여 캄머 심포니 베를린과 함께 베를린 필하모니 홀에서 연주하였으며, 독일 중부 만하임 바로크 성과 슈투트가르트 리더 할레에서의 공연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더불어 서울비르투오지와 앙상블 그리오의 멤버로도 활동하며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롯데콘서트홀, 성남아트센터, LG아트센터, 금호아트홀, 올림푸스홀, 일신홀, 페리지홀, TLi아트센터, 북서울숲아트센터, 엘림아트센터, 예술가의 집, 노원문화예술회관, 강북문화예술회관, 경기문화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 광주국립아시아문화전당, 통영시민문화회관,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예주문화예술회관, 울주문화예술회관, 창원성산아트홀, 김해문화의전당, 부산금정문화회관,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등 전국 각지에서 활발한 연주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Austria Salzburg Festival, Pinchas Zukerman, Juilliard String Quartet, Jian Wang, Maxim Vengerov, Igor Ozim, Eduard Grach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서도 음악적 탐구를 지속해왔다. 특히 석·박사 과정 중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바이올린 소나타(석사논문)를 연구하였고,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 1874-1951)와 베베른(Anton Webern, 1883-1945)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Lecture Recital을 통해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박사 논문 「스트라빈스키(I. Stravinsky)의 신고전주의 미학에 입각한 연주와 해석에 대한 고찰 -《듀오 콘체르탄테》(Duo Concertante, 1932)를 중심으로 -」를 통해 스트라빈스키의 신고전주의 미학과 연주를 접목시켜 고찰하는 등 학문적 연구와 연주를 함께 발전시키며,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확고히 다졌다.

특히 독주회를 렉처 리사이틀로 기획하여, 첫 번째는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경향과 시기별 작품 분석을 시청각 자료와 함께 강의하며 연주하였으며, 두 번째는 ‘Neo – Classicism’이란 주제로 힌데미트와 플랑크, 프로코피에프의 작품을 구성하여, ‘렉처 리사이틀’이 해설 음악회 차원이 아닌, 실제 강의와 연주를 함께 진행하는 신선한 시도를 했다는 좋은 평가를 받았고, 두 렉처 리사이틀 모두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대관료 지원 사업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세 번째는 「독일 낭만주의」를 깊이 있게 다루었는데, 특별히 브람스와 슈만의 작품을 분석한 후 이론과 연주를 접목하여 여러 소주제를 강의하고 연주하였으며, 이 또한 많은 호평을 받았다.

그녀는 서울대학교, 건국대학교 영재 음악원, 계원예고, 경기예고, 광주예고, 대전예고, 부산예고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현재는 수원대학교 객원교수 및 숙명여자대학교, 서울예고, 예원학교, 선화예중, 선화예고에 출강하며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또한 화음챔버오케스트라, 서울챔버오케스트라, 서울비르투오지채버오케스트라 단원으로 교육과 연주를 병행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img04

문지원 바이올린

  • 서울대학교 졸업, 독일 라이프치히 국립음대 디플롬, 마스터, 마이스터엑자멘 Meisterklassenexamen 최고점 졸업
  • 파리국립고등음악원 cnsm de paris 교환학생
  • 뮌헨필하모닉 챔버오케스트라, NBCM 라이프치히, 인천시립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협연
  • 이태리 Sermoneta 뮤직 페스티벌, 스페인 Fiampse 뮤직 페스티벌, 독일 Wagner 축제, 홀란드 뮤직 세션, 슈만하우스, 멘델스존하우스, 주 독일 한국문화원 초청연주
  • 게반트하우스오케스트라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근무
  •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영산아트홀, 대구콘서트하우스, TLI 아트센터, 일신홀 등 다수의 리사이틀 및 실내악연주
  • 포항시향, 천안시향, 전주시향, 목포시향, 오케스트라 디 오리지날, 아르츠 심포니 오케스트라 객원악장
  • 앙상블 텐텐 음악감독, 서울모던앙상블 단원, 앙상블 공간 단원
  • 문지원의 'Tasty Music’시리즈
  • 현재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중 · 고 출강
img04

송지원바이올린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은 서울예고, 서울대 및 동 대학원, 독일 쾰른 국립음대 최고 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일찍이 세계일보 콩쿠르 대상 및 KBS 신인음악 콩쿠르, 조선일보 콩쿠르, 부산음악 콩쿠르, The Canetti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Lions Music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Hessen등 국내외 다양한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솔리스트로서 11세에 대전시향과 협연을 시작으로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서울대 음대 교향악단 및 서울대 현악 오케스트라, Virtuoso Brunnsis(독일 5개도시 순회공연), 독일 크로스 챔버 오케스트라, 프라임 필하모닉, 군산시향, 포항시향, 몰도바 방송 교향악단, 쾰른 챔버 오케스트라, Saimaa Sinfonietta 등 국내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귀국 후 대전 예술의전당 주최 Summer New Artist Concert, 일본 아오모리 현립 미술관 초청 연주회, 전주 비바체 실내악 페스티벌 등 매년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자, 오케스트라 악장으로서 꾸준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그녀는 독일 함부르크 심포니 수석, 뒤셀도르프 심포니 수석을 역임하였고, 현재 세종대,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고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화음챔버오케스트라, 서울비르투오지 멤버, 함신익과 심포니송 악장, 대전챔버 악장으로도 활동중이다.

img04

오현진바이올린

풍부한 표현력과 견고한 테크닉을 지닌 바이올리니스트 오현진은 서울예술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도미하여 줄리아드 음악대학(The Juilliard School)에서 석사를 졸업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메네스 음악대학(Mannes College The New School For Music)에서 Aaron Rosand에게 사사받으며 연주기반을 탄탄히 한 그녀는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일찍이 음악저널, 음악춘추, 스트라드, 세계일보, 한국일보 등 국내 유수의 콩쿠르에서 1위 및 입상하며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금호영재 오디션에서의 발탁으로 금호 영재 리사이틀과 영산 영재 아티스트로서 솔로 리사이틀을 시작으로 음악적 두각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구리시립교향악단과의 차이코프스키 협연으로 솔리스트로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인 오현진은 유학 중 메네스 오케스트라의 수석으로 카네기홀에서 연주와 줄리아드의 폴홀, 메네스의 골드마크홀에서 리사이틀을 개최하며 다채로운 래퍼토리로 감각적인 무대를 선사하며 청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귀국 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귀국 독주회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통영 아티스트로 선정되어 독주회를 성황리에 마친 그녀는 페리지홀, 대전예술의전당, 부산금정문화홀 등 전국 각지의 수많은 무대에 오르며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음악적 견문을 넓히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에서 열리는 뮤직 페스티벌과 미국에서 열리는 페스티벌 Felix Anderlevsky's Music Festival, Green Mountain Festival, Music Academy Of the West 등 수많은 마스터 클래스 및 연주 활동들에 참가하며 끊임없는 음악적 탐구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유시연, 이경선, Aaron Rosand를 사사한 바이올리니스트 오현진은 현재 아음 트리오 멤버, 앙상블 위드 멤버로 활동함과 동시에 선화예술중학교, 숙명여자대학교에 출강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img04

이석중바이올린

바이올리니스트 이석중은 어릴적 미국 줄리어드 예비학교에서 바이올린을 시작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예원학교를 거쳐 서울예고에 수석 입학하였다. 이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진학하여 예술사와 전문사 연주자과정을 졸업하고 다시 도미하여 전액 장학생(Harry B.Jepson Scholarship, Irving S.Gilmore Scholarship)으로 예일대학교에서 석사과정(M.M)과 최고연주자과정(AD)을 졸업하였다.

일찍이 국내에서 중앙일보, 한국일보, 조선일보, 이화경향 등 다수의 콩쿨에서 입상하였으며 한국음악협회 주관인 해외파견 콩쿨에서 현악부문 전체대상(병역특례)을 수상하였고, 예원•서울예고를 빛낸 음악인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금호 영아티스트 로 선발되어 국내무대에 데뷔하였고 KBS교향악단, 국립 심포니 오케스트라,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전주시립교향악단, 제주도립교향악단 , 경북도립교향악단, KT 챔버 오케스트라, 경상 필하모닉 등과 협연하였으며, 미국의 모스 리사이틀홀과 서들러홀, 국내에서 예술의 전당, 세종문화회관 등에서 개인 독주회를 통해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관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연주자로서도 다양하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그는, 외교통상부 주최 한미수교 60주년 기념음악회에 참여하여 뉴욕 링컨센터 에이버리 피셔홀과 워싱턴 케네디센터, L.A 포드 씨어터 등에서 연주하였으며, 한국 국가 브랜드 위원회가 주관하는 “한미수교 130주년 기념 음악회”에 초청되어 워싱턴 앤드류 W. 멜론 공연장에서 연주하였다. 통영국제음악제와 6.15 민족 통일 대축전 평양공연에 참가하였으며 주한 스위스 대사관 초청연주를 가졌고, 미국 카네기 잔켈홀, 모스크바 라흐마니노프홀, 일본 이시가와 교류홀 등에서 실내악을 연주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주활동을 하였다.  또한, 귀국 후 수원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교향악단, 부산시립교향악단, 제주도립 교향악단, 군포 프라임 오케스트라, 원코리아 오케스트라, 통영 국제음악제 등에서 악장으로 초청되어 연주하며  오케스트라 리더로서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현재 아베끄 스트링 콰르텟 리더, 서울 튜티앙상블 악장, MEG 앙상블 악장, TIMF 앙상블 단원, 한국 공연 예술가협회 상임이사로 활동하고있으며 2024년부터 국립 강원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양성에 힘쓰고있다

img04

백은교바이올린

바이올리니스트 백은교는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장학생으로 학사 입학 및 졸업 후 도미하여 줄리어드 음악대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고 인디애나 음악대학 전문연주자과정을 수료하였다.

부산시립교향악단과 협연하여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은 그녀는 인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 대구 스트링스 오케스트라, 팬아시아 필하모니아, 리움챔버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등 음악적 역량을 선보였으며 뉴욕과 인디애나, 예술의전당, 금호아트홀, 일신홀, 거암아트홀 등에서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를 개최하여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Aspen Music Festival and School, Music Alp, Portugal Music Festival, Zakhar Bron, Miriam Fried, Vadim Gluzman 등 세계 유명 바이올리니스트들의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하며 끊임없이 음악에 대한 학구적 열의를 보이며 음악적 행보를 이어왔다.

가천대학교 음대, 강원대 음대, 계원예고 강사, 디토 오케스트라 객원 악장을 역임한 그녀는 현재 경희대학교, 예원학교, 서울예고, 선화예중, 선화예고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는 한편 클래시칸 앙상블, 화음챔버 오케스트라, 에클레시아 트리오 멤버로 활동하며 꾸준한 음악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img04

정진희바이올린

바이올리니스트 정진희는 독창적으로 빛나는 음색과 열정적인 표현으로 자신이 사랑하는 음악을 관객과 나누고 있다. 그는 음악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고 꾸준히 연구하는 연주자이기도 하다.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를 졸업 후 독일로 건너가 라이프치히 국립음대와 로스톡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 과정 및 최고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또한 슈투트가르트 국립음대에서 실내악으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며 솔로와 실내악 주자로서 기량을 고루 갖추었다. 이 과정에서 정진희는 베르너 숄츠, 에버하르트 펠츠, 카롤린 비트만, 플로리안 비크, 포글러 콰르텟, 안케 딜을 사사했다. 특히 베르너 숄츠를 통해 19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인 요제프 요아힘의 3대 직속 제자로서 가르침을 받았다. 정진희는 Sophie Charlotte 국제바이올린콩쿠르 3위 및 특별상, 네덜란드 찰스 헨넨 국제 실내악 콩쿠르 1위없는 2위, 그리스 테살로니키 국제실내악콩쿠르 우승을 했으며, 스페인 마리아 카날스 국제콩쿠르와 오스트리아 브람스 국제콩쿠르의 세미파이널리스트이기도 하다. 해외 유수의 콩쿨에서 입상하며 국제무대에서 뛰어난 연주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예후디 메뉴힌 재단의 장학생이자 EMCY 소속 연주자로 등록되어 독일, 네덜란드, 그리스, 스페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 유럽 전역의 페스티벌과 크고 작은 무대에서 연주 활동을 펼쳤다. 그는 일찍이 국내에서도 해외파견 음협콩쿠르, 세계일보 콩쿠르, 음악저널 콩쿠르 등 국내 주요 콩쿠르에서 우승했고, 금호 영아티스트에 선발되어 리사이틀을 가졌다. 귀국 후에는 도이체오퍼 베를린, 성남시립교향악단, 한경필하모닉 등과 협연 무대를 가지면서 호평을 받기도 했다. 그가 리더로 피아니스트 진영선, 첼리스트 정광준과 이룬 ‘트리오 콘 스피리토’는 유럽의 많은 무대와 한국에서 20년이 넘는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한편 뛰어난 연주와 리더십을 발휘하면서 성남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천안시립교향악단, 목포시립교향악단,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한경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아르츠심포니, 아베라 디 서울, 교보생명 클래시그널 심포닉앙상블 등 국내 유수 오케스트라의 악장 또는 객원악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우교수, 한양대, 경희대, 국민대, 경북대, 서경대, 강남대, 강릉원주대 등에서 학생을 가르쳤던 그는 현재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고, 계원예고, 덕원예고, 강남대 영재원에 출강하고 있어 수많은 젊은 연주자의 선생님이기도 하다.

예원학교 지휘자, 스톰프뮤직 소속 아티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는 그는 1933년산 Annibale Fagnola 바이올린으로 연주하고 있다. ​

img04

최규정바이올린

바이올리니스트 최규정은 서울예고 재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영재로 조기 입학하여 전액장학생으로 예술사 과정 및 전문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보스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New England Conservatory)에서 석사과정을 장학생으로 졸업하였고 Boston University에 진학하여 장학생으로 박사과정을 수학하였다.

일찍이 한국일보, 조선일보, 부산음악 콩쿠르, 서울신인음악 콩쿠르 등 국내 주요 음악콩쿠르에서 입상 하였고 서울예고 실기우수상을 비롯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시 KNUA Symphony Orchestra와 협연 및 악장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KBS교향악단, 울산시립교향악단, 목포시립교향악단과 협연, 금호 영 아티스트 콘서트 오디션에 합격하여 독주회를 여는 등 다양한 무대를 통해 연주의 폭을 넓혀왔으며 미국 보스톤 Haffner Sinfonietta와 협연 및 principal로 활동하였다.

img04

홍의연바이올린

진지하면서도 강렬한 그녀만의 빼어난 음악성, 뜨거운 열정과 카리스마로 많은 찬사를 받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홍의연은 국내에서 이화·경향 콩쿨 1위를 비롯하여 음악춘추 콩쿨, 소년한국일보 콩쿨, 서울청소년실내악콩쿨, 금호영재콘서트 오디션 등을 모두 석권하며 그 실력을 입증했다. 이후 칼 닐센 국제콩쿨에 최연소로 출전하여 3위에 입상하고 사라사테 국제콩쿨에서 또한 최연소 3위 입상을 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더불어 코퍼스 크리스티 국제콩쿨에서 바흐 특별상과 함께 최연소 2위 수상, 리스본 국제콩쿨 1위 및 현대곡 특별상 수상과 벨랑 국제콩쿨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폴란드 루블린에서 개최된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막심 벤게로프, 바딤 레핀, 빅토리아 뮬로바 등을 배출한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콩쿨에 참가하여 주니어 부분 3위를, 이후 3년 후 시니어 부분에서 1위를 수상하며 화려한 행보를 이어나갔다. 런던에서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솔로 데뷔를시작으로 오덴세 심포니, 프라하 라디오 챔버,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의 무대를 선보였으며 국내에서는 서울바로크합주단(KCO),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뉴서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충북도립교향악단, 청주시향, 전주시향, 춘천시향, 아산시향 등과 협연하며 솔리스트로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그녀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를 수료하고 예원학교 재학 중 도미하여 오벌린 음대에 최연소 입학, 전액장학생으로이경선을 사사하며 퍼포먼스 디플로마를 수여 받았다. 이후 독일 쾰른 국립음대에서 자카르 브론을 사사하며 학사과정및 석사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 학위를 취득하며 만점졸업을 하였다. 이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짜르테움 국립음대에서 피에르 아모얄을 사사하였다.

홍의연은 현재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구 서울바로크합주단) 단원으로 활동 중이며 서울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숙명여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선화예중고, SCC 서울중앙음악원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img04

황인영바이올린

섬세한 표현력과 감각적인 연주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황인영은 선화예술중학교를 수석 졸업 후, 선화예술고등학교에 수석 입학, 음악부 전체 수석으로 선화대상을 수상하며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최우등 표창을 수상하며 졸업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전액 장학금을 수혜, 석사학위 및 심화과정 학위(Master of Music, Master of Musical Arts)를 취득하였고 귀국 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독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일찍이 금호 영재 오디션에 발탁되어 음악성을 인정받은 황인영은 난파음악콩쿠르, KCO 전국 음악콩쿠르, 세계일보 음악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음악교육신문콩쿠르 대상, 한전아트센터 한전아츠풀 콩쿠르에서 전체 대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유학 중 예일대학교 음악대학에서 Stephen and Denise Adams 장학금과 Edward R & Leila M Wardwell 장학금을 수혜한 바 있다.

미국 Bowdoin International Music Festival과 Music Academy of the West에 전액 장학금으로 초청받아 참가하였음은 물론, Whitney Center 초청 실내악 공연과 Morse Recital Hall에서 독주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New Haven Symphony Orchestra의 단원을 역임하며 다수의 실내악과 오케스트라 연주로 넓은 영역에서의 활동을 선보여 왔다.

국내에서는 청와대, 시민청, 서울문화재단 초청 연주, 서울시 초청 연주,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브릿지 챔버 앙상블, 선화 오케스트라, 송파구립오케스트라 등과의 협연 무대를 통해 솔리스트로서의 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한편, 롯데문화재단의 신진 아티스트로 선정되어 롯데콘서트홀에서의 독주회를 비롯하여 예술의전당, 금호아트홀, 이원문화센터, 미국 Morse Recital Hall 등 국내외에서 다채로운 레퍼토리의 독주회를 개최하였다.

바이올리니스트 황인영은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부산대학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중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부산예술중학교, 부산예술고등학교, 한국예술영재교육원에 출강하여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활발한 연주와 함께 에드무지카 단원으로 활동 중이다.

img04

조영호베이스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음악학사)
  • 독일 쾰른음대(Hochschule für Musik Köln)졸업(DIPLOM)
  • 동 대학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KONZERTEXAMEN)
  • 가천대학교 대학원 지휘과 졸업(석사)
  • 독일 뒤셀도르프 시립교향악단 준단원(Praktikantstelle)
  • 서독 방송교향악단 준단원 (Aushilfestelle bei den WDR Sonfonieorchester Köln)
  • 융에 도이치 필하모니 단원
  • 아헨너 캄머 오케스트라 단원
  • 일본 태평양음악축제 오케스트라(PMFO)단원
  • TIMF(통영국제음악제)앙상블 단원
  • 한국 콘트라바쓰 협회 회장
  • 동덕여대 겸임교수
  • 현)성남시립교향악단 수석
  • 현)카메라타 안티콰 서울 단장
  • 현)예원학교,서울예고,서울대학교 출강
  • 현)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
img04

권오현비올라

비올리스트 권오현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도미하여 뉴 잉글랜드 콘서바토리(New England Conservatory)에서 실기 장학생으로 석사(Master of Music)과정을 졸업하였다. 전액 장학금으로 합격한 럿걸스 음악대학(Rutgers, University Mason Gross School of the Art)에서 박사(Doctor of Musical Arts)과정을 수료하였다.

일찍이 금호영아티스트, 금호영체임버 등 오디션에 선발되며 국내에서 연주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또한 Mason Gross Music Competition 우승, American Protégé International Piano & Strings Competition, Festival Filadelfia The Musical City of Europe에서 Grand Prize를 받아 세계무대에서 또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솔리스트로서는 CN Philharmonic 오디션에 발탁됨으로써 카네기 젠켈홀에서 미국 데뷔 무대를 가지게 되었다. 이후 연달아 New Brunswick Performing Art Center에서 비올리스트 최초로 협연하였으며, Rutgers Concerto Competition에서 우승하여 Rutgers Symphony Orchestra와 협연하였고, KT 체임버오케스트라, KBS국악관현악단,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omania Orchestra, Hungarian State Symphony Orchestra, Savaria Symphony Orchestra 등 수많은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으며 올해 12월 프라하 스메타나 홀에서Praha Radio Symphony Chamber Orchestra와 협연이 예정되어있다.

앙상블에도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최근 제주 국제 실내악 콩쿨에서 대상을 받아 실력을 인정 받았으며, 바로크콩쿠르 실내악 부문 전체 1위, 유중아트홀 시리즈 챔버 콘서트, 서울대학교 MoA 초청연주, 하나문화재단 연주, PLZ 페스티벌, 여수국제음악제, 대관령음악제 등에서 뛰어난 연주를 선보였으며, 올해 6월에는 대전국제음악제, 이태리 Festival delle citta Medieveali에서 연주할 예정이다.

현재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수원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중이며, 가천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예원, 서울예고, 선화예중에 출강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도암 토요콘서트 음악감독, 화음챔버오케스트라, 노벨티 콰르텟 , 파씨오 콰르텟 맴버로 활동하며 관객과 소통하는 무대를 이어가고 있다

img04

서수민비올라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비올리스트 서수민은 독일 Staatliche Hochschule für Musik Freiburg 전문연주자과정(Kuenstlerische Ausbildung)을 수석으로, 최고연주자과정(Solistenexamen)을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최우수 졸업한 재원(才媛)이다.

재학시절부터 탄탄한 실력을 구축해온 그녀는 국내 음악계의 최고 등용문인 동아일보 콩쿨 1위에 입상, Johannes-Brahms International competition에서도 한국사람 으로는 최초로 1등을 거머쥐었다. 그녀는 특히 독일에서 베를린 필의 수석을 20년간 역임한 Wolfram Christ 교수의 첫 한국인 제자로서 혹독한 트레이닝과 성장의 과정을 거치며 독일 바덴바덴시 시장상을 수여하였고, 음악저널 2008 신인음악상 대상을 수상함으로써 뛰어난 연주력을 인정받았다.

무대 위에서는 준비한 모든 것을 진솔하게 들려주며 비올라만이 가질 수 있는 깊고 풍성한, 따뜻하면서도 여유 있는 소리를 내기 위한 노력에 열정을 쏟고 있는 그녀는 세계 각국에서 펼쳐진 뮤직페스티발에 (일본 미야자키, 이태리, 스위스, 벨기에, 헝가리 등) 초청되어 Rainer Kussmaul, Wolfgang Meyer, Nobuko Imai, Claus Kanngieser, Gerhard Schulz, Daishin Kashimoto, Christoph Henkel, Seiji Ozawa 등 세계 유명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하였고, 독일 바덴바덴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수원시향, 서울 아카데미 앙상블, 충남교향악단, 원주시향, 충북도립 오케스트라, KT챔버 오케스트라, 모스틀리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여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2007년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귀국독주회를 개최한 이후 해마다 독주회를 비롯 60~70회의 크고 작은 연주회를 통해 꾸준한 연구와 노력으로 자신이 꿈꾸는 음악세계 구축에 온정을 쏟고 있으며 충남교향악단의 비올라 수석주자를 역임하였고, 현재 코리아나 챔버뮤직 소사이어티, 화음 챔버 오케스트라, 앙상블 에클라, ERATO 앙상블 등의 멤버로서 활발한 연주여정을 더해가는 한편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img04

이수민비올라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음악제들에 매년 초청되며 활발한 연주를 이어가고 있는 비올리스트 이수민은 예원학교 졸업 후 서울예고 재학 당시 동아일보 콩쿠르 비올라 최연소 우승을 비롯하여, 유수 콩쿠르에서 입상하면서 비올라계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녀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사를 졸업하던 해 독일정부 학술교류처 DAAD의 장학생으로 발탁되어 도독, 쾰른 국립음대에서 Rainer Moog을 사사하며 디플롬 과정과 최고연주자 과정을 최우수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스위스 Verbier Music Festival, 영국 Prussia Cove Music Festival 등 세계적인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왔으며 독일 Duisburger Philharmoniker / Deutsche Oper am Rhein의 제 1 비올라 수석을 역임하였다.

비올리스트 이수민은 서울 스프링 페스티벌, 통영 국제음악제, 전주 비바체 페스티벌, 서울 국제음악제,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여러 음악제에 초청되어 세계적인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 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또한 후학을 가르치는 교육자로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비올리스트 이수민은 DG (도이치그라모폰) 에서 발매된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의 “DUO“음반의 녹음에 참여하였으며 특히 앨범에 수록된 George Benjamin(베를린 필하모닉 상주작곡가 역임)의 “Viola, Viola” for two violas 는 작곡가로부터 “엄청난 다이내믹과 아름다운 톤의 명연주“ 라는 찬사를 얻기도 했다. 2018년 피아니스트 임효선과 함께 비외탕, 클라크 소나타 등을 연주한 그녀의 첫 솔로음반이 DECCA 에서 발매되었다.

또한 Korean Chamber Orchestra와 지휘자 랄프 고토니의 모차르트 교향곡 전곡 연주 시리즈에서 바이올리니스트 박수예와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를 협연하여 호평을 받았으며 정명훈이 이끄는 원코리아 오케스트라의 비올라 수석으로도 함께 하고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대학와 한양대학교의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서울대학교에서도 후학을 양성하는데 힘을 쓰고 있다.

img04

홍지혜비올라

비올리스트 홍지혜는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 전문사과정을 수석 졸업하며, 이준우, 김용윤, 오순화 교수에게 사사 후 독일로 건너가 만하임 국립음대(Staatliche Hochschule für Musik Heidelberg - Mannheim) 전문연주자과정(Künstiliche Ausbildung)을 Hideko Kobatashi에게 사사하며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학업중 한국 청소년 실내악 콩쿨, 제 31회, 34회 동아콩쿨 비올라 부문에 입상한 바 있으며, 서울시립 청소년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하며 일본, 미국 카네기홀 등에서 순회 연주를 통하여 일찍이 역량 있는 젊은 연주가로 평가 받았다. 독일 유학 중에는 독일 만하임 국립 음대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 중 CD 레코딩)을 하며, 다수의 창작음악, 독주회, 실내악 연주를 하였으며 특히, Thomasheim 초청 독주회 후 신문 Mannheimer Morgen, 잡지 Lokalanzeiger에서 “완벽학 테크닉과 뛰어난 음악성, 피아니스트와의 절묘한 조화”라는 호평을 받은바 있다. 예음 실내악 Festival, Finland Kumho Chamber Music Festival, Poland International String Festival, 일본 삿포로 International String Festival, 영국 Lioner Tertis International Viola Festival 등에서 Yuri Gandelsmann, Yuri Bashmet, Hideko Kobayashi, Karen Ritsher, Rainer Moog, Johachim Krist, Sibelius Quartet, Peterson Quartet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가하며 연주하기도 하였다.

1999년 귀국 독주회(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이후 정기적인 독주회와 독일 문화원 주최 바하 기념 음악회, 세계 여성 음악제, 올라 비올라 레파토리 발굴 기획 연주, 반주학회, 체리 앙상블, 미술관 리움 초청 연주회를 비롯하여 협스트링 앙상블 수석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특히, 1999년 창단한 비올라 앙상블 “올라 비올라 사운드” 수석으로 2000년 동유럽 순회연주, 2008년, 2011년 파리 연주를, 2004년부터는 모리스 퀄텟의 비올리스트로 베토벤 전곡 연주포함 24회의 정기연주회와 2006년 CD <살아있는 색체, 소리로 표현되다.> 2011년 찬양음반 <아하브>를 제작 하였다. 소리의 청각화와 소리의 미각화를 컨셉으로 컬러시리즈와 맛시리즈를 8회에 걸쳐 현악사중주를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참신한 기획력 퀄텟으로 인정받으며 활동하고 있다.

한편,부산 MBC 라디오 클래식 음악실의 고정 게스트, KBS 클래식 오딧세이 출연, 경북대, 중앙대, 가천대 비올라와 실내악 강사를 역임 하였다. 현재는 모리스콰르텟 멤버, 올라 비올라 수석,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예종 영재교육원, 예원 · 서울예고, 선화예고에 출강하며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img04

홍진선 비올라

"유동적이고 깔끔한 테크닉과 물의 흐름처럼 악기에서 넘쳐 흘러나오는 듯한 소리를 창조해내는 능 력을 가졌다(스트라드)” 라는 호평을 받으며 미국무대에 데뷔한 비올리스트 홍진선은 카네기홀, 뉴욕 링컨센터, 워싱턴 D.C. 케네디센터, 보스턴 이사벨라 스튜어트 가드너 뮤지엄, 뉴욕 모르건 라이브러 리, 프린스턴 리차드슨 오디토리움, 워싱턴 D.C. 코스모스 클럽, 스탠포드 빙 콘서트홀, 유씨 버클리 헤르츠 홀 등 미국의 유수한 홀에서 활발한 연주활동 뿐만 아니라 2017 뉴욕 영콘서트 아티스트 오 디션, 2017 이탈리아 프리미오 파올로 볼치아니 콩쿨, 2017 노르웨이 트론하임 콩쿨, 2016 프랑스 보 르도 콩쿨등의 세계 유수의 콰르텟 콩쿨에서 상위입상하며 이탈리아, 프랑스, 캐나다, 아부다비 등 연 주를 활발히 하고 있다.

프루시아 코브 뮤직 세미나, 브라보 베일 뮤직 페스티벌, 카라무어 뮤직 페스티벌, 메인리 모차르트 페스티벌, 뉴포트 뮤직 페스티벌, 그레잇 레익스 챔버 뮤직 페스티벌, 라비니아 뮤직 페스티벌, 옐로 우반 뮤직 페스티벌, 맥길 인터네셔널 스트링 콰르텟 아카데미, 펄만 뮤직 프로그램, 킴벌튼 서머 아 츠 페스티벌, 어니스트 브룩 뮤직 페스티벌등에 초청 참가 및 연주하였고, 비올리스트 홍진선은 예원 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재학중 도미하여 커티스음악원 학사, 뉴잉글랜드 음악원 석사 및 연주자 과정, 메릴랜드 주립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Katherine Murdock , Kim Kashkashian, Roger Tappin g , MishaAmory , 최은식 , 이선영과 강창우를 사사하였다.

현 재 Young Concert Artists 소 속 Omer Quartet 의 비올리스트로 2019 - 2021 년 동 안 예일대학교의 Fellows hip Quartet - in - Residence로 임 명되 어 대학 생들 의 실 내악을 가르 쳤 으며, 이 전엔 메릴랜드 주립 대학교 와 , 뉴잉글랜드 콘서 바 토리의 예비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하였다

img04

김소연첼로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명예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 입학 및 졸업,베를린 한스아이슬러(Haans Eisler) Diplom 및 Konzert Examen 졸업
조선일보, 난파, 대구방송(TBC), 이화경향, 세계일보, 한국일보, 중앙일보 콩쿠르 1위CBS기독교방송 콩쿠르 전체부문 대상 (문화부 장관상 수상),Alice-Samter 실내악 콩쿠르 2위, KBS-한전 신인음악 콩쿠르 전체부문 대상
독일 브란덴부르크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kbs오케스트라와 다수 협연
금호영아티스트 독주회를 시작으로 다수 독주회
임마뉴엘 파위, 스베틀린,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조성현, 양인모 등 국내외 유명 연주가들과 실내악 연주
현 한양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강사, 서울시립교향악단 단원, 예원, 서울예고 출강, 첼리스타 첼로앙상블, 하임 퀄텟, 트리오 온 멤버

img04

오지현첼로

첼리스트 오지현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사과정을 졸업하였고 예술전문사과정 재학 중 독일 Essen Folkwang 국립음악대학교에 입학하여 전문연주자과정(Diplom)과 최고연주자과정(Konzertexamen)을 최우수성적(mit Auszeichnung)으로 졸업하였다.

일찍이 국내에서 음악적 기량을 인정받은 그녀는 Italy Cennina 첼로 앙상블 순회 연주, 프랑스 Courchevel 국제 음악캠프 참가 및 연주, 태국 정부 초청 연주, 서울챔버앙상블 연주, 서울창작음악제 연주, Seoul Classical Players 창단 연주, 호암 Music Alp Festival 연주, 소프라노 신영옥의 "My Songs 전국투어콘서트" 연주, KBS국악관현악단 "실내악의 밤" 연주를 비롯하여 상록실내악단 협연 등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였다.

독일 유학시절 Essen, Duisburg, Düsseldorf 등 독일 각지에서 다수의 독주 및 Piano Trio "SORI", "Jade"의 첼리스트로 폭넓은 연주 활동을 가졌으며, 독일 Bochum 초청 독주회를 개최하며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와 동시에 Essen Folkwang 국립음악대학교 오케스트라 수석 역임, 독일 Essen Kammermusiksaal 및 Alte Aula 독주회, 독일 Bochumer Symphoniker와의 협연 등을 통하여 전문 연주자로서의 기반을 단단히 하였다.

서울 예술의전당에서의 귀국 독주회를 시작으로 한국예술비평가협회 초청 독주회, 보로딘심포니오케스트라와 쇤베르크 현악4중주 초연, 대전시립교향악단, 금천교향악단, 리움챔버오케스트라, 이탈리아 OLIMPIA 오케스트라 등에서 협연자로 초청되었고, 수지오페라단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청주시립교향악단, 천안시립교향악단, 금천교향악단, Joy of Strings 등 국내 유수의 앙상블과 오케스트라에서 객원 수석을 역임하였다.

또한 KBS, 극동아트TV, 예술TV Arte에 출연하여 클래식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노력했으며, 매년 정기독주회 및 앙상블 포럼21 수석, 더 스트링스, Ensemble 발밤, 전주 비바체 실내악 축제 등의 멤버로서, 그리고 Oh Celli 음악감독으로서 관객과의 만남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는 그녀는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중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계명대학교, 숭실대학교, 경기예고, 대전예고, 부산예고, 안양예고, 인천예고, 충남예고, 계원예중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예원학교, 선화예중, 서울예고, 선화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첼리스트 오지현에게 음악은 삶의 전부이며 사람들과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매체이다. 그녀는 음악을 존경하고 배려하며 초심을 잃지 않고 첼로와 영원한 그림을 그리고 있다.

img04

원진경첼로

JK music 대표원장 첼리스트 원진경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졸업후 첼리스트 조영창의 권유로 도독하여 에센폴크방 국립음대를 학사 석사 모두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고 쾰른국립음대 마리아클리겔 교수 문하에서 석사 와 박사를 현악교수 만장일치 최우수성적으로 입학 졸업하였다.

귀국후엔 예술의전당, 롯데콘서트홀, 세종문화회관, 연세금호아트홀 등에서 수많은 초청 연주회를 하였으며, 중앙음악콩쿨,  서울음악콩쿨, 소리얼음악콩쿨, 대구 TBC 대구방송 음악콩쿨 등 여러 유명 콩쿨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는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있다.

연세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중앙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 중.고등학교, 계원예술중학교, 부산예술중.고등학교등에 출강하여 전국 각지의 어린 첼리스트들을 키워내어 2012년 시작한 JK music 에서 매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이화여자대학교등 국내 최고의 대학교 입시에 우수한 성적으로 학생들을 입학시켰으며, 졸업후 독일 베를린, 쾰른, 뮌헨, 에센, 만하임, 뷔어츠부르크, 미국 줄리어드, NEC(뉴잉글랜드컨서바토리), 콜번, 인디애나 국립음대등 세계적인 학교들의 유학에도 도움을 주어 한국의 유명한 첼리스트들을 키워내는데 앞장서고있다.

img04

최경은첼로

세계적인 지휘자 Yan Pascal Tortelier로 부터 마음을 읽는 완벽한 연주자라는 평을 받은 첼리스트 최경은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북부왕립음악원과 미국 USC음대에서 전액장학생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경향, 한국음악협회, 난파 대상, 동아일보, 중앙일보 1위, 한미음악콩쿨 대상 등 국내 유수의 콩쿨을 석권하고

미국 Beverly Hills Competition을 우승, Julio Cardona International Competition 1위, RNCM Concerto Competition 우승, Philharmonia Orchestra “Martin Musical Award” 수상, MBF Music Education “Myra Hess Music Award” 수상 등 유수 국제 콩쿨 입상, 지휘자 고 임원식 운파음악상을 수상하는 영예도 얻었다. 해외 우수 음악제의 초청을 받아 연주하였으며 Macau Orchestra, Chester Philharmonic, Los AngelesString Orchestra KCO, 창원시향, 천안시향, 프라임필, 파주시향 등과 협연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El Camino College Cello교수를 역임한 그녀는 국내의 마음을 담은 클래식, 전주 비바체페스티벌, 서울국제음악제, 앙상블오푸스, 여수국제음악제, 더하우스콘서트, PLZ국제음악제, 파주 헤이리 뮤직 페스티발 등 다양한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현재 서울대학교, 서울예고, 예원학교에 출강, 중국 Flamingo International String Art Festival,미국 Montecito International Summer Festival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img04

최민지첼로

  • 예원학교 수석입학, 서울예고 재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입학 및 졸업
  • 프랑스 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Musique de Paris (파리국립고등음악원) 석사 졸업
  • 미국 Colburn School(콜번 대학교) 최고연주자과 정 졸업
  • 동아음악콩쿠르, 중앙음악콩쿠르 2위
  • 이화경향 콩쿨, TBC 대구방송 콩쿨,성정 음악콩쿨, 코리아헤럴드 콩쿨 , 음악저널 콩쿨 1위
  • Verbier Festival, Pacific Music Festival, Music Academy of the West 참가 및 수석 역임
  • New York Philharmonic, LA philharmonic 객원 역임
  • 미국 Santa Barbary Symphony 종신 단원 역임
  • 미국 Eugene Symphony 종신 부수석 역임
  • 미국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정단원 역임
  • 현 한국예술종합학교 겸임교수 및 성남시립교향악단수석단원, 예원학교,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원 광주캠퍼스 출강
img04

최정주첼로

세계적인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미국 데뷔 협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첼리스트 최정주는“완벽한 테크닉과 타고난 음악성을 지닌 연주자”라는 호평을 받으며 솔리스트이자 챔버 뮤지션으로서 국, 내외에서 왕성한 연주활동을 하고 있다.

9세에 첼로를 시작한 그는 12세가 되던 해에 서울시향과 협연하며 처음 데뷔하였고, 예원학교 재학 중 故 메뉴힌 경에게 발탁되어 13세에 도영하여 예후디 메뉴힌 영재음악학교를 거쳐, 미국 커티스 음대 학사, 줄리어드 음대 석사 및 최고연주자 과정, 뉴욕 주립대 박사과정까지 18년간 전액 장학생으로 유학하였다.

국내에서는 조선일보 1위, 이화경향 1위, 한국일보 1위 등의 주요 대회를 두루 석권하였으며 해외에서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신인음악 콩쿠르, 줄리어드 하이든 콩쿠르, 롱 아일랜드 콩쿠르, 뉴욕 아티스트 인터내셔널, 영국 마틴 스칼라쉽 등의 콩쿠르에서 입상하였다.

지금까지 최정주는 예후디 메뉴힌, 에멀슨 콰르텟, 콜린 카, 아니 카바피안, 라이너 목, 마리아 클리겔 등 세계적인 음악인들과 함께 무대에서 앙상블을 연주하였고 영국 버킹검 궁전을 비롯하여 퀸 엘리자베스홀, 런던 위그모어홀, 맨체스터 첼로 페스티벌, 벨기에 러쿠 추모연주회, 프랑스 레작 뮤직페스티벌, 독일 슐레스빅 홀슈타인 뮤직페스티벌, 미국 카네기 웨일홀, 링컨 센터, 아카데미 하우스, 피아티골스키 첼로세미나, 일본 고마쭈홀, 호암 아트홀, 금호 금요콘서트 등에서 초청되어 독주회를 가졌으며, 미국 WSHU 라디오, KBS FM 라디오, KBS 클래식 오디세이, MBC 청소년 음악회 및 일본 NHK 방송사 등 다수의 방송에서 연주실황이 생중계되기도 하였다.

그 외 영국 길포드 심포니 (지휘 피터 노리스), 메뉴힌 챔버 (지휘 故 메뉴힌 경), 미국 스토니 부룩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빌 퍼비스), 바로크 합주단 (지휘 헤르베르트 지베르트), 부천시향 (200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지휘 임헌정), 코리안 심포니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 지휘 강창우), 원주시향 (지휘 박영민), KT 챔버오케스트라 (지휘 이택주) 아르코 디아블로 챔버, 소피아 챔버, 밀레니엄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서희태), 군산 시향, 울산 심포니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여러 차례 협연하였고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트리오 드 서울, 그리움 앙상블 멤버로 활동 중이다.

img04

홍승아첼로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졸업
  • 인디애나 음대 최고연주자(AD)과정 바로크첼로 복수전공 석사(MM) 전액장학금, 예술우수상 수상 및 수석졸업.
  • ndianapolis Matinee Musicale Competition 우승
  • Kuttner Quartet Competition우승 오사카 국제콩쿠르 2위 및 특별상 수상.
  •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 및 금호영체임버콘서트 오디션
  • 인디애나 음대 상주퀄텟 첼리스트, 아스펜 국제음악제 오케스트라, 실내악 멘토역임
  • Columbus Indiana Philharmonic 첼로수석역임
  • 현)부산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재원 출강, 강남심포니 및 대전시향 객원수석
img04

장혜리첼로

전설적인 첼리스트 Janos Starker가 “탁월한 기량의 뛰어난 연주자”라고 평가한 첼리스트 장혜리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한 후 도미하여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야노스 슈타커의 조교이자 Associate Instructor로서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논문 “Preparingfor orchestral cello auditions: The study of standard orchestral excerpts for cello”를 발표하며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일찍이 15세에 서울시향과 협연하며 두각을 나타낸 그녀는, 선화콩쿨, 한국일보, 음악춘추, 전국 청소년 음악콩쿨, 바로크 합주단 콩쿨 등 국내 다수의 콩쿨에서 상위 입상하여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Indianapolis Matinee Musicale Competition과 American Protégé Music Competition에서 우승하며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뛰어난 연주자로서의 자질을 인정받았다.  또한 Carnegie Hall에서 Winner’s Concert를 하였고, Paul Hall, WMP Hall, Lincoln Center Alice Tully Hall 등 뉴욕을 중심으로 독주와 실내악 연주로 종횡무진 활약하며 다수의 무대를 통해 경험을 쌓고  그 깊이를 더했다.또한 솔리스트로서 입상과 연주 뿐만 아니라 Indiana University Festival Orchestra 수석을 비롯하여 Cincinnati Symphony Orchestra의 객원 단원을 역임하였고,  New York Philharmonic의 객원단원으로 투어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오케스트라 연주활동을 하였다.

그녀는 귀국 후 2015년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의 독주회를 시작으로 매해 예술의전당,세종문화회관, 금호아트홀 등 국내 주요 공연장에서 독주 및 실내악 연주와 협연을 하고 있으며, 대관령 국제음악제에도 참가하는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한경필하모닉, 코리안심포니, 성남시향 등 다양한 오케스트라의 객원수석, 동덕여자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예종 영재원 강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SCC 전임교수이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세대학교, 서울예고, 선화예고, 경기예고,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에 출강하며, 첼리스타 첼로앙상블, 서울챔버오케스트라, 블루밍 트리오, 앙상블 공간의 멤버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첼리스트 장혜리는 1749년에 제작된 카를로 안토니오 테스토레로 연주하고 있다.

img04

한승희하프

  •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
  • 뉴욕 ICMC-NYCEMF, 샌디에이고 · 캘리포니아 NWEMO FESTIVAL 초청 아티스트
  • KOCOA Music Festival 우수 공연예술제 세계 초연
  • 이탈리아 살레르노 국제영화제에 공식 선정 및 인도 델리 국제단편영화제 베스트 뮤직 수상
  • Apple Music, Amazon Music 등 음원 발매
  • 서울시립교향악단, TIMF앙상블, KBS교향악단 객원 연주 역임을 비롯한 유수의 오케스트라 및 앙상블 수석 하피스트
img04

서형민피아노

2021 ‘독일 본 베토벤 국제 콩쿠르’ 우승 (및 3개 특별상 수상), 2018 ‘인터내셔널 저먼 피아노 어워드’ 우승, 2016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 2016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우승을 비롯해 화려한 입상경력, 폭넓은 레파토리와 테크닉, 그리고 깊은 음악성을 겸비한 피아니스트 서형민은 1990년 서울에서 태어나 4살이 되던 해에 피아노를 시작하고 이듬해 작곡공부를 겸하기 시작하여 7살이 되던 해에 한국일보 콩쿠르에서 금상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으며8살에 예술종합학교에 입학했다. 한국에서 김영숙 교수, 알렉산더 스비야트킨 교수, 허원숙 교수를 사사한 그는 10살에 도미, 미국 매내스 음대 예비학교에서 김유리 교수와 블라디미르 펠츠만 교수를 사사하며 2001년 ‘뉴욕 필하모닉 영아티스트 오디션’ 우승으로 11세의 나이에 쿠르트 마주어 지휘 하의 뉴욕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화려하게 데뷔 하였다.

2008년 정명훈의 지휘로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협연, 2009년 매내스 예비학교를 우수 졸업 후, 美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존 제이 장학생(John Jay Scholar)으로 선발되어 고대 그리스-로마 역사 전공으로 수학하였고 컬럼비아-줄리어드 더블 프로그램을 통해 엠머뉴엘 액스, 마티 라이칼리오를 사사하였다. 2013년에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탱글우드 음악페스티벌에 참가, 같은 해 제5회 ‘센다이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2위 및 은메달을 거머쥐었다.

이후 상기한 2016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입상,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우승 및 윤이상 특별상 수상, 2017년 ‘헤이스팅스 국제 피아노 협주곡 콩쿠르’ 2위, ‘비엔나 베토벤 국제 콩쿠르’ 4위, 2018년 ‘리나 살라 갈로 국제 피아노 콩쿠르’ 한국인 최초로 2위로 입상, 그리고 2019년 ‘G.B. 비오티 국제 음악 콩쿠르’ 2위 및 청중상을 수상하며 국제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명성을 쌓았다. 뉴욕 필하모닉과 서울시향을 비롯하여,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슈타츠카펠레 할레, 허드슨 밸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센다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등 세계적인 교향악단과 협연하였다. 2019년부터는 평창대관령음악제에서 독주회, 예술의전당 독주회 및 아티스트라운지를 비롯해 실내악, 협연 등등의 다채로운 공연을 한국에서도 선보였으며, 2021년 독일 ‘본 베토벤 국제 콩쿠르’ 우승 이후 Konzerthaus (Berlin), Herkulessaal (München), Laeiszhalle (Hamburg) 등등 유명 공연장에서 협연을 하는 등, 한국과 유럽을 오가며 활발한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세계적 권위의 ‘루르 피아노 페스티벌’ 2022 신인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 데뷔 독주회를 가진 서형민은 독일 하노버 국립음악대학교에서 올리비에 가르동 교수를 사사하며 마스터과정을 마쳤고, 현재 아리에 바르디 교수의 가르침 아래 Konzertexamen (최고 연주자과정) 코스를 밟고있다.